김형준. (2010). 오픈 프라이머리 제도의 한국적 적용에 관한 고찰: 미국의 경험을 토대로. 비교민주주의연구, 6(2), 35-68.
스티븐 레비츠키・대니얼 지블랫, 박세연 역, 『어떻게 민주주의는 무너지는가』, 어크로스, 2018
윤왕희. (2024). 포퓰리스트 정당으로서 거대 양당의 공천: 제22대 총선 공천을 중심으로. 미래정치연구, 14(1), 101-131.
윤왕희. (2022). 국회의원후보 공천제도의 개선방안 연구: 하잔과 라핫의 ‘3단계 공천모형’을 중심으로. 『선거연구』, 1(16), 63-90.
모종린, 전용주. (2004). 후보경선제, 본선경쟁력 그리고 정당 민주화. 한국정치학회보, 38(1), 233-253.
정진민, Jin Min. (2011). 정당의 후보선출과 공정성: 유권자정당 모델을 중심으로. 의정연구, 17(3), 145-170.
장승진, 서정규. (2019). 당파적 양극화의 이원적 구조: 정치적 정체성, 정책선호, 그리고 정치적 세련도. 한국정당학회보, 18(3), 5-29. 10.30992/KPSR.2019.09.18.3.5
Reuven Y. Hazan & Gideon Rahat. (2010). Democracy within parties: Candidate selection methods and their political consequences. Oxford University Press.
에즈라 클라인, 황성연 역, 『우리는 왜 서로를 미워하는가 : 편 가르기 시대 휘둘리지 않는 유권자를 위한 정당정치 안내서』, 윌북(willbook) (2022). 원제 Why We're Polarized
정인관. (2025). 정치적 양극화와 민주주의의 위기, 그리고 과제 : 레비츠키와 지블랫의 논의를 중심으로. 현상과인식, 49(1), 223-242. 10.46349/kjhss.2025.03.49.1.223